우리는 삶을 살아가는 한 의사소통을 하여야 한다. 소통은 본인의 의사를 말과 글 또는 행동으로 전달한다. 태어나면서 울음과 얼굴 표정으로 엄마와 하고, 말을 배우면서 언어로 또 글을 배우면서 문자로 한다.
전달하는 목적은 제각각이지만 동질감을 얻기 위해서 무던히 노력하는 게 우리네 생이다. 그래서 말 한마디에 글 한 줄에 또는 표정 하나에 웃고, 울고 때로는 분개하거나 환희하며 살아간다.
얼마 전 SNS에 올라와 있는 영상 한토막을 보았다. 영국에 있는 카피라이팅 회사에서 제작한 해외광고영상이 우리 시선과 마음을 어떻게 움직이는가 나타내는 교훈적 영상이다.
영국의 평범한 거리에 시각장애인 노숙자 한 명이 종이 박스에 "Im blind. Please help(나는 장님입니다. 도와주세요)"라는 문구를 써서 구걸을 하고 있었다.
지나가던 시민 한 둘은 동전을 던지고 가지만 대부분은 노숙자와 상관없다는 듯 무심코 지나가는 행인들이 보인다. 그때 한 여성이 지나가다 말고 장님 앞에 서더니 장님이 가지고 있던 종이 박스 뒤에 뭔가를 적어 다시 세우고 간다. 그 뒤 얼마나 지났을까. 지나가던 시민들의 손에 쥐어진 동전이 장님 앞 구걸함에 던져진다. 짧은 시간 동안 꽤 많은 동전이 쌓인다.
그녀가 뭐라고 썼기에 많은 사람들이 도움의 손길을 선뜻 건네주는 것일까?
궁금하던 차에 그 여성이 다시 찾았을 때 장님은 그녀가 쓴 글이 무엇이었냐고 묻는다. 그러자 그 여성은 뜻은 같지만 다른 말을 썼다고 하면서 보이는 문구는
"It's a beautiful day and I can't see it"(아름다운 날입니다. 그리고 저는 그것을 볼 수가 없습니다)"라는 내용이다.
보지 못한다는 뜻은 같다. 하지만 아름다운 것을 볼 수가 없다는 표현으로 생각의 전환을 한 여성의 문구는 지나는 사람의 마음을 움직였다.
우리가 수없이 주고받는 말에는 장미꽃잎처럼 예쁜 말도 있지만 장미가시처럼 아픔을 주는 말도 있다. 글도 그렇다. 유행가 가사처럼 점 하나에 님이 되고 남이 될 수 있다. 어려서 자주 뇌리던 "아버지 가방에 들어가셨습니다." 처럼 "사랑해 보고 싶어" "사랑해보고 싶어"는 띄어쓰기 하나에 의미가 정말 다르다.
요즘은 SNS상에서 악플들이 난무한다. 내 생각과 다르다고, 실명이 아니라고 무차별적으로 쓰이는 악플-러들로 인해 누구는 마음의 상처를 받는다. 악플 순환운동이라도 벌여야 할 시대에 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