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벌, 명문, 갑족, 당내명문의 구분과 기준》 상신(相臣)은 고려의 삼사(三師) 삼공(三公)과 문하시중(門下侍中) 판삼사사(判三司事) 삼중대광(三重大匡) 중대광(重大匡) 개부의동삼사(開府儀同三司) 중서령(中書令) 상서령(尙書令)과 조선의 영의정 좌의정, 우의정으로 하고' 상신과 문형을 많이 배출한 순위로 명문의 순위를 분류하되 문장지문(文章 之門)을 우선으로 하였다 순위의 공정을 기하기 위하여 영상(領相) 3점' 좌상(左相) 2점' 우상(右相) 1점' 문형(文衡) 1점으로 하여 다수점(多數點)으로 하되 동점인 경우는 고위직 다수순으로 하고' 비록 상신수는 많이 배출하였다 하더라도 보조상신(補助相臣)만 배출하고 영의정과 문형을 배출하지 못한 경우와 왕비의 세력으로 국권을 전횡한 경우는 후순위로 하였다
《한국의 8대 명벌》
| ||||||||||||||||||||||||||||||||||||||||||||||||||||||||||||||||||||||||||||||||||||||||||||||||||||||||||||||||||
| ||||||||||||||||||||||||||||||||||||||||||||||||||||||||||||||||||||||||||||||||||||||||||||||||||||||||||||||||||
| ||||||||||||||||||||||||||||||||||||||||||||||||||||||||||||||||||||||||||||||||||||||||||||||||||||||||||||||||||
참고 문화류씨 141명 6위 284,083 2,014 : 1 | ||||||||||||||||||||||||||||||||||||||||||||||||||||||||||||||||||||||||||||||||||||||||||||||||||||||||||||||||||
|
'宗事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왕조실록, 필선공 휘 기문(弼善公 起門) 기사 (0) | 2009.07.03 |
---|---|
소설가 류승규문학비 (0) | 2009.06.06 |
문화류씨세보, 영락보를 찾아서... (0) | 2009.03.22 |
국조방목(國朝榜目) 第3卷 1541년(中宗 36) ~ 1594년(宣趙 27) (0) | 2009.03.18 |
국조방목(國朝榜目) 第2卷 1472년(成宗 3) ~1540년(中宗 35) (0) | 2009.03.13 |